본문 바로가기

르노삼성/SM316

2005 르노삼성 SM3 (1세대, N17) 해당 모델 생산 기간 : 2002~2005 차량 등록 : 2005.07.15 촬영 일자 : 2024.07.31 촬영 장소 : 대구광역시 달서구 동급의 경쟁 모델과 비교했을 때, 주행 성능이나 인테리어에서는 별 차이점이 없으나 뒷좌석이 낮고 너무 좁다는 단점이 있었다. 허나 원래 베이스였던 모델이 은퇴자, 혹은 자녀가 없는 신혼부부를 판매 대상으로 삼은 모델이라 뒷자리는 있으면 좋다는 느낌이었다. 이 모델이 출시될 당시 닛산자동차 시트의 고질적인 설계 결함으로 운전석과 조수석 탑승 시 쉽게 피로하게 되거나 신체 균형에 지장을 초래하는 등 착좌감, 허리 건강에 상당한 문제를 줬다. 2024. 8. 1.
2003 르노삼성 SM3 (1세대, N17) 해당 모델 생산 기간 : 2002~2005 차량 등록 : 2003.07.29 촬영 일자 : 2024.07.26 촬영 장소 : 대구광역시 달서구 출시 직후에 마케팅 컨셉을 상당히 잘 잡았는데, 성능이나 기술적인 부분을 공략하기보다 르노삼성자동차의 이미지에 맞게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이미지 컨셉으로 공략을 시도했고 유명 록 밴드 '퀸'의 'Too Much Love Will Kill You'를 BGM으로 사용해 CF가 유명세를 타면서 브랜드 인지도에서도 상당한 이득을 보였다. 이와 더불어 출시 당시 경쟁 국산차 모델들에는 없던 오렌지색, 카키색, 깊은바다색, 금모래색 등의 당시로서 파격적인 색을 주력으로 밀어붙이며 CF도 선보였고, 보수적인 느낌의 준중형차라는 인식을 지워나갈 수 있었고 준중형차의 주요 소.. 2024. 7. 26.
2003 르노삼성 SM3 (1세대, N17) 해당 모델 생산 기간 : 2002~2005 차량 등록 : 2003.01.03 촬영 일자 : 2024.07.23 촬영 장소 : 인천광역시 남동구 출시 당시 국내 준중형 모델이 현대 아반떼 XD를 제외하면 전부 도토리 키 재기였던 시기였는데, 내구성 및 품질 면에서 호평을 받은 SM5와 마찬가지로 특징적인 손해를 조금 감수하더라도 충분히 성능, 품질이 검증된 차종을 엄선하여 베이스로 기획된 SM3의 경쟁력이 상당했다. 덕분에 대우의 라세티를 시장에서 가볍게 앞서며 기아자동차의 스펙트라-쎄라토에 걸친 긴 기간동안 준중형급 차량 시장 2위 자리를 놓고 경쟁하던 대표적인 준중형 차종으로서 급부상하였다. 2024. 7. 24.
2002 르노삼성 SM3 (1세대, N17) 해당 모델 생산 기간 : 2002~2005 차량 등록 : 2002.11.29 촬영 일자 : 2024.07.23 촬영 장소 : 인천광역시 남동구 1998년 첫 양산 모델인 SM5 출시 이후 4년이 지나도록 단일 모델만 판매하고 있었던 르노삼성자동차의 라인업 확장 요구가 있었고, 경영권을 갖고 있던 르노-닛산 얼라이언스 측의 제안으로 준중형차 모델의 라인업 추가가 확정, 닛산의 준중형 모델인 블루버드 실피 N16 모델을 들여와 국내 시장에 맞게 손보고 2002년 출시되었다. SM3 출시 이전까지 르노삼성은 SM5만으로 4기통 1.8, 2.0 엔진과 6기통 2.0, 2.5 엔진으로 중형, 준대형을 모두 커버하고 있었다. 물론 SM5의 상급 모델인 PX를 준비하고 있었으나 빅딜 시위로 인해 개발에 차질이 생겼고.. 2024. 7. 23.